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핑거루트 효능 총정리

by 노모어커피 2019. 2. 18.

    [ 목차 ]
반응형

Benefits of Fingerroot

핑거루트의 효능





위장병 치료 이 뿌리 줄기는 위장 통증, 설사, 헛배부름, 소화 불량 및 산통 장애와 같은 위장병 치료를 위해 민간 요법에 사용됩니다. Pimpinella anisum (아니스)와 핑거루트를 함께 혼합하여 변비와 복부팽만감 치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를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핑거루트는 본래 위장관에서 가스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그것은 또한 장내에서 가스를 배출하는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항 바이러스 성질 핑거루트는 본질적으로 항 바이러스성이며 기침, 흉부 감염, 감기 및 천식과 같은 바이러스를 치료하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해, areca catechu nuts (빈랑열매) 와 함께 핑거루트 조각을 씹으십시오.


이뇨작용

이 뿌리 줄기는 Pimpinella anisum (아니스)와 결합하여 어린이들을위한 이뇨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뇨제는 소변이 쉽게 배출 되도록합니다.


안티 - 구충제

Fingerroot는 본질적으로 항생제가 아니기 때문에 기생충을 퇴치하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뿌리 줄기는 코코넛 밀크와 함께 혼합 할 수 있으며, 기생충을 죽이거나 배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뿌리 추출물은 원충 기생충, 회충, Giardia intestinalis (람블편모충), Entamoeba histolytica(적리아메바)에 효과적입니다.


항 염증 성질

핑거루트는 류마티스, 근육통, 통풍 및 관절염 통증 치료에 항염 작용을하여 매우 효과적입니다. 또한 여성의 자궁 내 염증을 줄이기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됩니다.


질 감염 치료

핑거루트의 뿌리 줄기는 다른 허브와 향신료와 함께 사용하면 질 감염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질 감염은 곰팡이 칸디다, 효모, 성병, 박테리아 및 위생 제품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여성 질환을 말합니다. 증상에는 부기, 발진, 가려움증 및 염증이 포함됩니다. 핑거루트는 또한 질에서 점액이 황색 또는 희끄무레 한 분비물로 표시되는 냉증치료에 사용됩니다.


JAMU (인도네시아 전통 의약) 의 재료

핑거루트는 Jamu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한방 약재를 준비하는 데 특히 사용됩니다. JAMU는 주로 식물의 잎, 씨앗, 뿌리, 나무 껍질, 과일, 꽃, 꿀, 아얌 캄펜 달걀, 왕실 젤리 및 우유와 같은 원료로 만들어집니다. 자무는 자궁 강화를 위해 출산 후 인도네시아 여성들이 복용하기도합니다.  


치아관리
핑거루트는 치아 관리에 효과적이며 치아 충치 (충치, 충치), 입 냄새, 의치 구내염, 구강 염증, 치아 및 잇몸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ngerroot는 또한 위, 식도, 편도선 및 코의 냄새로 인한 구취를 치료하는데에 효과적입니다. 

방부제 역할
핑거루트는 상처를 치료하고 치유하기위한 방부제로 사용됩니다. 소독제는 감염을 예방하고 미생물 또는 세균의 성장을 지연 시키거나 중지시키는 데 도움이됩니다. 

항균성
핑거루트는 강력한 항 박테리아 특성으로 박테리아문제를 다루는데 효과적입니다.항 궤양 작용연구팀은 에탄올 유도 쥐실험을 통해 핑거루트 에탄올추출물과 생리활성물질이 위궤양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습니다. 위 점액 함량이 증가하여 위궤양 형성 면적이 감소하고 위벽에 백혈구가 침투하는 것을 막습니다. 핑거루트는 소화성 궤양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사랑의 묘약 - Aprodisiac
핑거루트는 성욕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성적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주로 태국에서 사용됩니다.
 
알레르기 개선
핑거루트의 잎은 음식 알레르기 및 중독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항균 속성
핑거루트의 수성 추출물은 항균 특성이 있어 대장균과 같은 식인성 병원체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항 돌연변이 성질 
조리 된 식품 및 가공 식품에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있는 돌연변이원이 포함되어있어 염색체 및 DNA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결국 암 위험을 초래합니다. 연구원들은 핑거루트 추출물에 항 돌연변이 효과가 있음을 밝혔습니다. 

항암 성질  
암은 전세계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주제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은 여전히 ​​성공적인 해결책을 밝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현재 항암제 발명의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식물과 허브의 사용을 통해 다양화하고 있습니다. 핑거루트와 Zingiber aromaticum(제룸벳진저)은 MCF-7 유방암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습니다. 

항백혈병 성질
핑거루트는 본래 백혈병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뿌리 줄기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백혈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항진균 성질 
핑거루트는 항진균 성질을 지니고있어 이 뿌리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Microsporum gypseum과 Candida neoformans와 같은 칸디다 종의 전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HIV / AIDS로 고통받는 사람들은 칸디다증과 같은 곰팡이 감염에 취약하다는 것을 알아야하며 이는 왜 뿌리 줄기가 HIV / AIDS 환자에 의해 태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암시합니다. 

항구제역 바이러스 (Anti-foot-and-mouth disease virus, Anti-FMDV) 
태국에서는 이 뿌리 줄기는 구제역 바이러스 퇴치 민간요법에 사용됩니다. 구제역 바이러스 (FMDV)는 산에 민감한 피코르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낮은 pH 조건에 노출되면 비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상처 치유 속성 
핑거루트는 여러 질병을 억제,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생체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핑거루트의 에탄올 추출물은 상처 치유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 음이 증명되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핑거루트 추출물과 Intrasite gel(습윤드레싱제)으로 처치한 상처는 매우 빨리 회복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더욱이 핑거루트 추출물을 입힌 상처의 흉터는 거의 보이지 않거나 전혀 보이지 않았으며, 혈관 신생과 염증 세포가없는 콜라겐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밝혀졌습니다. 

해열작용
핑거루트는 해열제 작용을 하여 발열과 감기를 줄이기위한 천연약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요리 목적
핑거루트는 매우 향기로워서 Kaeng tai pla(태국요리), kroeung pastes(캄보디안요리), porridges(오트밀), stews and soups와 같은 다양한 요리에 어울려 사용됩니다. Fingerroot는 식욕을 높이는 데 도움이됩니다. 
 






REFERENCES

1] Abdelwahab, S. I., Mohan, S., Abdulla, M. A., Sukari, M. A., Abdul, A. B., Taha, M. M., Syam, S., Ahmad, S. and Lee, K. H. (2011), the methanolic extract of Boesenbergia rotunda (L.) Mansf. and its major compound pinostrobin induces anti-ulcerogenic property in vivo: possible involvement of indirect antioxidant action. J Ethnopharmacol;137: pp. 963-969.2] Chahyadia, A., Hartatia, R., Wirasutisnaa, K. R. and Elfahmi (2014), Boesenbergia Pandurata Roxb., An Indonesian Medicinal Plant: Phytochemistry, Biological Activity, Plant Biotechnology, International Seminar on Natural Product Medicines, Vol. 13, pp. 13-23.3] Ching, A. Y., Wah, T. S., Sukari, M. A., Lian, G. E. C., Rahmani, M. and Khalid, K., (2007), Characterization of flavonoid derivatives from Boesenbergia rotunda (L.), The Malaysian, Journal of Analytical Sciences 11, pp. 154–157.
4] Herunsalee, A., Pancharoen, O. and Tuntiwachwuttikul, P. (1987), Further studies of flavonoids of the black rhizomes Boesenbergia pandurata,” Journal of the Science Society of Thailand, vol. 13, pp. 119–120.
5] Hwang, J. K., Chung, J. Y., Baek, N. I., Park, J. H. (2004), Isopanduratin A from Kaempferia pandurata as an active antibacterial agent against cariogenic Streptococcus mutan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23: pp. 377-380.
6] Jing, L. J., Mohamed, M., Rahmat, A. and Bakar, M. F. A. (2010), Phytochemicals,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cancer investigations of the different parts of several gingers species (Boesenbergia rotunda, Boesenbergia pulchella var attenuata and Boesenbergia armeniaca), Journal of Medicinal Plant Research, vol. 4, no. 1, pp.27–30.
7] Kirana, C., and Jones, G. P. (2007), Record IR, McIntosh GH. Anticancer properties of panduratin A isolated from Boesenbergia pandurata (Zingiberaceae), Journal of Natural Medicine 61: pp. 131–136.
8] Kress, W. J., Prince, L. M. and Williams, K. J. (2002), The phylogeny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ingers (Zingiberaceae): evidence from molecular data,” American Journal of Botany, vol. 89, no. 10, pp. 1682–1692.
9] Shindo, K., Kato, M., Kinoshita, A., Kobayashi, A. and Koike, Y. (2006),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contained in the Boesenbergia pandurata Schult. rhizome,”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 70, no. 9, pp. 2281–2283.
10] Sawangjaroen, N., Phongpaichit, S., Subhadhirasakul, S., Visutthi, M., Srisuwan, N. and Thammapalerd, N. (2006), The anti-amoebic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used by AIDS patients in southern Thailand,” Parasitology Research, vol. 98, no. 6, pp. 588–590..
11] Tan Eng-Chong, Lee Yean-Kee, Chee Chin-Fei, et al., “Boesenbergia rotunda: From Ethnomedicine to Drug Discovery,”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 2012, Article ID 473637, 25 pages, 2012. doi:10.1155/2012/473637.
12] Zainin, N. S., Lau, K. Y., Zakaria, M., Son, R., Abdull Razis, A. F. and Rukayadi, Y. (2013), Antibacterial activity of Boesenbergia rotunda (L.) Mansf. A.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20(6), pp. 3320-3321.




출처  https://globalfoodbook.com/benefits-of-fingerroot-boesenbergia-rotunda

반응형